
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2023년에 도입된 청년도약계좌가 2025년 새롭게 개편되어 더욱 강화된 혜택과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.
만 19세부터 34세까지, 연 소득 7,500만 원 이하 청년이라면 누구나 가입할 수 있는 이 상품은 5년간 최대 월 70만 원까지 자유롭게 적립하며 정부의 매칭 지원금과 높은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1. 정부 기여금 지원 확대
기존에는 개인 소득 수준에 따라 월 최대 2.4만 원까지 지원되었으나, 2025년부터는 최대 3.3만 원까지 확대됩니다.
예를 들어, 연 소득 2,400만 원 이하 청년은 월 3.3만 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어 자산 형성에 더욱 큰 도움이 됩니다.
또한, 납입한 만큼 정부 기여금을 전액 지급받으며, 연 최대 9.54%의 일반 적금 상품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2. 가입 신청 기간 및 방법
2025년 8월 1일부터 8월 14일까지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이 진행됩니다.
11개 취급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간편하게 신청할 수 있으며, 신청 후 적격자 확인과 계좌 개설 절차가 순차적으로 진행됩니다. 매월 접수가 가능하니, 원하는 시기에 맞춰 신청하시면 됩니다.

3. 3년 이상 유지 시 혜택 강화
기존에는 5년 만기까지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과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었지만, 2025년부터는 3년 이상 유지 후 중도 해지 시에도 비과세 혜택과 정부 기여금의 60%를 받을 수 있게 되어 중도 해지 부담이 크게 줄었습니다.
이로 인해 청년들의 자산 운용에 유연성이 더해졌습니다.
4. 성실 납입 시 신용평가 가점 부여
2025년부터는 2년 이상, 800만 원 이상 납입한 가입자에게 개인 신용평가 점수에 5~10점 가점이 부여됩니다.
이는 KCB, NICE 등 주요 신용평가 기관 기준으로, 청년들의 신용 관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.
또한,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납입 정보가 자동으로 신용평가사에 연결되어 편리합니다.
5. 부분인출 서비스 도입
기존에는 만기 전 부분 인출이 불가능했으나, 2025년부터는 2년 이상 유지한 경우 납입금의 40% 이내에서 부분 인출이 가능해져 긴급 자금이 필요할 때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.
이 서비스는 청년들의 자산 활용도를 높이고 금융 생활의 안정성을 강화합니다.
2025년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위한 정부의 강력한 지원과 함께, 중도 해지 부담 완화, 신용평가 가점 부여, 부분인출 서비스 등 실질적인 혜택이 대폭 강화되었습니다.
청년 여러분이 안정적인 목돈 마련과 신용 관리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니, 꼭 신청 기간을 놓치지 마시고 준비하시길 바랍니다.